진짜 서버리스 vs 가짜 서버리스
서버리스
: 개발자가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 모델
: 서버가 없는 것이 아니라 서버를 구축하고 유지, 관리하며 트래픽에 맞게 스케일링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
: 서버리스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추상화된 상태로 제공
: 개발자는 추상화된 서버리스 모델을 설정하거나 비즈니스를 위한 코드를 작성해 배포
서버리스에 대한 4가지 원칙 (아마존 CTO 버너 보겔스)
: 관리할 서버가 없어야 한다
: 유연하게 확장 가능해야 한다
: 고 가용성을 유지해야 한다
: 절대 사용하지 않은 용량에 대해서는 지불하지 않는다
진짜 서버리스
- 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
: Lambda (컴퓨팅)
: API Gateway (API 게이트웨이)
: S3 (스토리지)
: SQS (메시지 큐)
: SNS (publish / subcribe (확장 가능한 비동기 메시징 서비스))
: DynamoDB (NoSQL)
: Fargate (컨테이너 컴퓨팅)
: Kinesis Data Firehose (스트리밍 데이터 로드)
: Glue (ETL 카탈로그)
: Athena (Ad-hoc 분석)
: Step Function (작업 오케스트레이션, 상태 머신)
등등
가짜 서버리스
: 트래픽이 0일때도 최소한의 비용이 청구되는 서비스
: Aurora Serverless V2, MSK Serverless
Reference
진짜 서버리스 vs 가짜 서버리스 | 요즘IT
서버리스는 클라우드의 최신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그렇다면 Server-Less는 무엇일까요? 처음 들어 본 개발자는 서버가 없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. Red Hat에서는 서버리스에 대해 다음
yozm.wishket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