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velopment/Project

일 잘하는 PM이 가지고 있는 역량

2mukee 2025. 2. 2. 18:28
320x100
320x100


PM의 역할
- 문제 발굴
데이터, 유저 CS, VoC, UT/인터뷰, 발생한 이슈를 보고 의사 결정

- 문제 정의
가장 먼저 해결할 문제를 정의
문제를 해결했을 때 임팩트 정의
개선을 위해 필요한 리소스 선정
해결을 위해 필요한 기능 정의

- 문제 해결
문제를 해결할 구성원과 협업
배포 이후 문제가 없는지 확인 (QA)
임팩트가 실제로 작동하는지 확인
유관 부서에게 공유

- CS/운영
이후 발생할 리스크 관리
유입되는 CS 관리
이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추가적인 develop 방안 고민




역할에 따라 구분한 PM
- Core PM
운영되고 있는 제품의 개선점을 찾아내는 역할

- Growth PM
제품의 PMF를 디벨롭하고 지표를 키우는 역할

- Platform PM
숫자가 만들어진 제품을 더 효율적으로 키울 방법을 찾는 역할

- Innovation PM
완전히 초기 단계의 제품을 만드는 역할




PM에게 필요한 하드스킬
- 제품에 대한 로드맵 설계
- 애자일 방법 활용 (스크럼 및 칸반)
- 재무 모델링 및 비즈니스 모델
- 제품 가격 책정
- 시장 출시 계획 작성
- 사용자 온보딩 전략 설계
-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
- 성장 및 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 메트릭 분석
- 고객 인터뷰 진행
- UI 및 UX 디자인
- 사용자 피드백 및 메트릭을 기반으로 기능 우선순위 지정
- 문서화 기술 (노션, 피그마, 컨플루언스)
- 정책 설계 및 사전 법적 리스크 검토




PM에게 필요한 소프트스킬
- 의사소통 능력
- 제품 우선순위 전달 능력
- 리더십
- 분석적 사고
- 문제 해결 능력
- 시간 관리
- 프로젝트 관리
- 이해관계자와의 협업 능력
- 시장 및 경쟁자 분석
- 리스크 관리
- 발표 기술




일잘하는 PM의 역량
- 개선이 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한 문제 정의와 개선 시 임팩트를 정의
- 어떤 부분에 있어서 각 분야의 팀원들에게 효과적일지 정의
- 임팩트를 달성할 수 있는 최소 기능 정의
- 필요한 리소스 산정과 어떤 프로세스로 테스트를 진행할지에 대해 결정
- 핵심 기능을 문서로 정리하되 최대한 간단히, 구조적인 부분을 강조해서 설명
- 설득이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그 자리에서 해결하고, 수정하고 보충







Reference

일 잘하는 PM은 어떤 역량을 가지고 있을까?

그동안 만났던 PM들 중 일 잘하는 PM이 가지고 있었던 역량들 | 스스로 일을 하면서나 PM이 되고자 하는 분들을 만날 때, 그리고 여러 네트워킹을 통해서 지속적인 연락을 하고 있는 현직 PM 분들을

brunch.co.kr

300x250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