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20x100
320x100

DDL (Data Definition Language)

- 데이터 정의어

 

- DDL의 대상

ㆍ도메인 : 하나의 속성이 가질 수 있는 원자 값들의 집합 (데이터 타입, 크기, 제약조건 등)

ㆍ스키마

  : DB의 구조, 제약조건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구조

  : 외부 스키마 (사용자나 개발자 관점에서 필요로하는 DB의 논리적 구조 / 사용자 뷰)

  : 개념 스키마 (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구조 / 개체간 관계 / 제약조건 / 접근 권한 / 무결성 / 보안)

  : 내부 스키마 (물리적 저장장치 관점의 DB구조 / 레코드 형식 / 저장항목 표현 방법 / 물리적 순서)

ㆍ테이블 : 데이터의 저장 공간

ㆍ뷰 : 하나 이상의 물리 테이블에서 유도되는 가상의 테이블

ㆍ인덱스 : 빠른 검색을 위한 데이터 구조

 

- 명령어

 : CREATE / ALTER / DROP / TRUNCATE

 

 

 

테이블

- 용어

ㆍ튜플 (Tuple) / Record / 행

ㆍ속성 (Attribute) / 열

ㆍ식별자 (Identifier) : 여러 개의 집합체를 구분할 수 있는 논리적 개념

ㆍ카디널리티 (Cardinality) : 튜플의 개수

ㆍ차수 (Degree) : 열의 개수

ㆍ도메인 (Domain) : 하나의 속성이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 값들의 집합

 

 

 

뷰 

- 여러 개의 물리 테이블로 부터 생성한 논리 테이블

- 특징

 :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제공

 : 데이터 조작 연산 간소화

 : 접근제어 기능 제공

 : ALTER문을 이용한 변경 불가

 

 

 

인덱스

- DB내의 데이터를 빠르게 찾기 위한 자료구조

 : 테이블의 특정 레코드 위치를 알려주는 용도로 사용

 

- 종류

ㆍ순서 인덱스 : 데이터가 정렬된 순서로 생성

ㆍ해시 인덱스 : 해시함수에 의해 키 값으로 접근

ㆍ비트맵 인덱스 :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를 이용한 인덱스

ㆍ함수기반 인덱스 : 수식이나 함수를 적용하여 만든 인덱스

ㆍ단일 인덱스 : 하나의 컬럼으로만 구성

ㆍ결합 인덱스 : 두 개이상의 컬럼으로 구성 / Where사용빈도가 높을때 사용

ㆍ클러스터드 인덱스 : Primary Key를 기준으로 레코드를 묶어 관리

 

- 스캔방식

 : 범위 스캔 / 전체 스캔 / 단일 스캔 / 생략 스캔

 

 

 

DML (Data Manipulation Language)

- 데이터 조작어

- 명령어

ㆍSelect

  : select [all | distinct] 속성 from 테이블 where 조건 group by 속성 having 그룹조건 order by [asc | desc] ;

  : count (갯수 셈)

  : where (= / <>,! / IN, NOT IN / LIKE / IS NULL, IS NOT NULL / AND, OR, NOT,! / BETWEEN a AND b) 

 

ㆍInsert

  : insert into 테이블(속성) values(데이터);

 

ㆍUpdate

  : update 테이블 set 속성=데이터 where 조건

 

ㆍDelete

 : delete from 테이블 where 조건

 

 

 

Join

- 두 개이상의 테이블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

 : 두 릴레이션으로 부터 관련된 튜플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튜플로 만듦

 

- 유형

ㆍ내부 조인 : 공통 존재 컬럼의 값이 같은 경우

 

ㆍ외부 조인 (Left / Right / Full)

  : 왼쪽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와 오른쪽 테이블의 동일 데이터 추출

 

ㆍ교차 조인 : 조인 조건이 없는 모든 데이터 조합 추출

 

ㆍ셀프 조인 : 자신에게 별칭 부여후 조인

 

 

 

서브쿼리

- SQL에 포함된 SQL문

- Select문

 : sum, count, min, max 등

- from

 : inline view

- where

 : Nested Sub-Query

 

 

 

집합 연산자

- union : 중복행이 제거된 쿼리 결과 반환

- union all : 중복행이 제거되지 않은 쿼리 결과 반환

- intersect : 두 쿼리 결과의 공통적인 결과 반환

- minus : 첫 쿼리에만 있는 결과 반환

 

 

 

DCL (Data Control Language)

- 데이터 보안, 무결성 유지, 병행 제어, 회복을 위해 관리자가 사용하는 명령어

- 명령어

ㆍGRANT

  : 사용권한 부여

  : grant 권한 on 테이블 to 사용자

 

ㆍREVOKE 

  : 사용권한 박탈

  : revoke 권한 on 테이블 from 사용자

300x250
728x90

'Certification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절차형 SQL 작성  (0) 2021.04.11
응용 SQL 작성  (0) 2021.04.11
트랜잭션  (0) 2021.04.11
프로그래밍 개념  (0) 2021.04.10
프로그래밍 기초 2 (연산자 ~ 객체지향)  (0) 2021.04.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