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20x100
320x100
dnf (dandified YUM)
: yum의 단점인 느린속도와 과다한 메모리 사용, 의존성 결정 느림 문제를 개선한 패키지 관리자
: RHEL/CentOS 8에 정식 도입
: 기존 사용자들을 위해 dnf를 백엔드로 사용하는 yum 유틸리티 제공
: 기존 yum의 명령어 그대로 사용가능
Refference
https://www.lesstif.com/system-admin/yum-dnf-95879895.html
yum 을 대체하는 패키지 관리 명령어 dnf 사용법
www.lesstif.com
https://www.fedoralinux.or.kr/forums/topic/20625
DNF와 YUM 차이 간략한 정리 | 페도라 한국 사용자 모임
리눅스 사용을 안한지 오래되어서 몰랐는데 DNF라는 명령이 새롭게 추가되었다고하여 간단히 왜 변경된 것인지와 간단한 사용법을 정리해봤습니다. 개인 블로그에 작성한 내용이니 틀린 내용이
www.fedoralinux.or.kr
300x250
728x90
'Computer Science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dhat MongoDB 세팅 (0) | 2021.08.09 |
---|---|
AWS Linux Server 기본 사용자 계정 (AMI : Amazon Machine Image) (0) | 2021.08.08 |
yum 레포지터리 삭제 및 캐시 삭제 (0) | 2021.08.06 |
리눅스 OS 버전 확인 (0) | 2021.08.06 |
래드햇 리눅스 SSH 포트변경 (AWS-EC2) (0) | 2021.04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