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20x100
320x100
주의사항
- ip나 호스트 뒤에. 붙이기
- 작성된 부분에서 IN을 사용하면 IN을 꼭 붙이기
/var/named/.zone 형식
$TTL 1D
@ IN SOA nameserver contact-email-address (
serial_number ; serial
refresh_number ; refresh
retry_number ; retry
expire_number ; expire
minimum_number ) ; minumum
domain TTL class type Rdata
TTL
- 다른 서버에서 도메인 관련 정보를 조회해서 가져갔을 경우 해당 서버 캐시에 머무는 기간
- 값은 초단위 이나, W(주), D(일), H(시), M(분) 을 붙혀서 사용 가능
SOA record
- zone 파일을 시작하는 레코드. 도메인명 또는 @를 사용.
- 설명이 필요한 경우 주석기호인 ;을 사용
- nameserver (네임 서버의 호스트명과 도메인 명 (ns.2mukee.com.))
- contact-email-address (관리자 이메일 주소. 계정.도메인. 형태. (deragon.2mukee.com.))
- serial_number (일종의 일련번호. YYYYMMDDNN 형식. NN은 수정 회수 (2022101601))
- refresh_number (보조 네임 서버의 업데이트 주기. (1D))
- retry_number (보조 네임 서버의 주 네임 서버 접근 실패 시 재시도 주기. (1D))
- expire_number (보조 네임 서버의 주 네임 서버 접근 실패 시에 재시도 만기 시간. (1W))
- minimum_number (SOA 영역의 TTL. 가져간 정보의 최소 보관 기간. (3H))
domain
- 도메인명, 호스트명, 공백, @, * 등을 기입
- @ (현재 도메인)
-
- (모든 호스트명)
- 호스트명.도메인이름 (전체 도메인명 지정 시 맨뒤에 .을 붙여야함)
- 공백 (윗 항에 설정된 도메인 값을 이어서 사용)
TTL
- 해당 레코드에 대한 TTL 값. 보통은 생략. 생략한 경우에는 $TTL 항목의 값이 반영됨
class
- 레코드의 클래스 지정. IN, CH, HS 등 사용 가능. 보통은 Internet을 뜻하는 IN을 사용.
- 생략해도 무방.
type
- 해당 레코드의 타입
- A (IPv4 주소)
- AAAA (IPv6 주소)
- NS (도메인의 네임서버 지정)
- MX (메일 서버 지정. MX 다음 0 또는 양의 정수값을 기입해 우선순위도 지정해야함)
- CNAME (별칭)
- PTR (리버스 존에만 사용하는 레코드로, IP 주소를 도메인으로 변환하기 위해 지정)
Rdata
- IP 주소, 도메인명, 호스트명을 지정하는 영역
- 호스트명만 지정한 경우 자동으로 도메인을 붙여서 인식
- 전체 도메인명 명기 시 맨뒤에 .을 붙여야함
예시
$TTL 1D
@ IN SOA ns.2mukee.com. deragon.2mukee.com. (
2022101601 ; serial
1D ; refresh
1H ; retry
1W ; expire
3H ) ; minumum
NS ns.2mukee.com.
A 10.0.2.16
MX 10 2mukee.com.
ns A 10.0.2.16
www A 10.0.2.16
/var/named/.rev 파일
$TTL 1D
@ IN SOA ns.2mukee.com. deragon.2mukee.com. (
2022101601 ; serial
1D ; refresh
1H ; retry
1W ; expire
3H ) ; minumum
NS ns.2mukee.com.
1M PTR 2mukee.com.
15 PTR ns.2mukee.com.
15 PTR [www.2mukee.com.](<http://www.2mukee.com>./)
300x250
728x90
'Certification > 리눅스마스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마스터 1급 명령어 모음 (0) | 2022.11.23 |
---|---|
리눅스 마스터 1급 설정 파일 모음 (0) | 2022.11.23 |
리눅스 마스터 1급 설정 파일 별 형식 정리 (0) | 2022.11.23 |
리눅스 마스터 1급 중요 명령어 요약 (0) | 2022.11.23 |
리눅스 마스터 1급 설정 파일 예시 (0) | 2022.1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