거리
총 달린 거리 (km)
시간
총 달린 시간 (시간, 분, 초)
페이스
1km를 달리는데 걸린 시간
주로 속도의 지표로 쓰임
(ex) 530 페이스 = 1km를 달리는데 5분 30초가 소요됨
심박수
달리는 동안의 심장 박동 속도
zone1 부터 zone5까지 5개의 존으로 나눠서 체력분배를 위한 적절한 심박수 유지를 위해 계산
- 최대 심박수 계산식
> 기본 공식
220 - 나이 (개인차가 큰 편)
(ex) 29세 기준 220 - 29 = 220bpm
> Tanaka 공식 (정밀한 연구 기반)
208 - (0.7 * 나이)
(ex) 29세 기준 208 - (0.7 * 29) = 188bpm
> Gulti 공식 (여성 전용)
206 - (0.88 * 나이)
- zone1 (회복 존)
최대 심박수의 50~60%
가볍고 쉬운 페이스
회복 러닝, 걷기
- zone2 (지구력 존)
최대 심박수의 60~70%
지방 연소, 장거리 기본 체력
롱런, LSD (장거리를 천천히 뛰는 러닝)
- zone3 (에어로빅 존)
최대 심박수의 70~80%
유산소 능력 강화
템포 런, 페이스 유지 훈련
- zone4 (무산소 존)
최대 심박수의 80~90%
젖산 역치 향상
인터벌 트레이닝
- zone5 (최대 노력 존)
최대 심박수의 90~100%
스프린트, 고강도 트레이닝
짧은 전력 질주, 레이스 피니시
고도 변화 (획득고도)
달리기 중 상승한 고도의 총합
오르막 경사길을 오른 높이의 누적 값
케이던스
1분 간 총 발걸음 수를 의미
1분 동안 한 쪽 발이 지면에 닿는 횟수 * 2로 계산 ((ex) 왼발을 90회 딛는다면 케이던스는 180SPM)
케이던스가 높으면 차지 충격이 줄고 무릎과 엉덩이의 부상 위험이 낮아짐
빠르고 짧은 보폭은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지면 접촉 시간이 감소되면 러닝 시 편해짐
- 150~165 SPM
부상위험
- 165~175 SPM
아마추어
- 175 ~ 185 SPM
적정 케이던스
- 190 SPM 이상
스프린터
- 케이던스 높이는 방법
메트로놈 앱을 180 bpm으로 설정하고 발 맞추기
짧은 보폭과 빠른 발 턴오버 유지
상체 흔들림 최소화 연습
케이던스 연습을 주간 루틴에 포함
'knowledge > 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러닝 용어 정리 (0) | 2025.07.17 |
---|---|
러닝 용품 총 정리 (2) | 2025.07.10 |
러너를 위한 부위 별 스트레칭 (0) | 2025.07.10 |
러닝화에 대한 모든 것 (2) | 2025.07.10 |
치아교정에 대한 모든 것 (6) | 2025.06.24 |